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KISA 인터넷 보호나라&KrCERT
MENU
인터넷침해사고 경보단계
2022.07.04. 02:25
현재
주의
사이버위협
경보단계
스미싱
랜섬웨어
무선랜 보안
인터넷 공유기
IP 카메라
피싱 예방
해킹메일
- 중요 업무자료 유출사고
- 신용카드 결제 사기 사고
- PC 악성코드 감염 사고
윈도우7 지원 종료
- 비상대응체계
- 자주 묻는 질문
원격수업 대비
실천수칙
- 실천수칙
- 보안교육
보안서비스
사이버 위협정보
분석공유(C-TAS) 시스템
민간분야 사이버
위기대응 모의훈련
맞춤형 전용백신
DNS 싱크홀
중소기업 정보보호
컨설팅 지원
중소기업 침해사고
피해지원
해킹메일 모의훈련
플랫폼
보안점검
내PC 돌보미
(PC 원격 보안점검)
내서버돌보미
(서버 원격 보안점검)
중소기업 홈페이지 보안강화
중소기업 보안 취약점 점검
정보보호사전점검
중소기업 SW 개발보안 진단
상담 및 신고
해킹 사고
랜섬웨어 감염
기업
개인
피싱ㆍ스미싱 사고
웜/바이러스 사고
보안 취약점
해킹/바이러스 상담
발신번호거짓표시
빅데이터센터
센터 소개
이용 안내
이용자 환경 안내
빅데이터 교육
사이버보안
빅데이터 챌린지
자료실
보안공지
보고서
취약점 정보
가이드 및 매뉴얼
최신동향
공지사항
KrCERT/CC
Welcome Message
Vision & Mission
Contact
Vulnerability
Security Advisory
Publications
인터넷침해사고 경보단계 2022.07.04. 02:25
주의
보안점검
내PC 돌보미
(PC 원격 보안점검)
내서버돌보미
(서버 원격 보안점검)
중소기업 홈페이지 보안강화
중소기업 보안 취약점 점검
정보보호사전점검
중소기업 SW 개발보안 진단
중소기업 SW 개발보안 진단
홈
서비스 개요
중소기업 SW 개발보안 진단
서비스명
내용
출장형 진단
진단 전문가가 직접 신청기업에 방문
하여 SW 보안약점 진단을 해주는 서비스
내방형 진단
진단 인프라가 갖춰진
SW개발보안허브에 신청기업이 내방
하여 진단 전문가의 기술지원을 받아 SW 보안약점을 자가진단할 수 있는 서비스
※ SW개발보안허브: 판교제2테크노벨리 기업지원허브 4층 (
지도보기
)
(주소: 성남시 수정구 대왕판교로 815)
이용대상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해당하는 중소기업(SW 사업자 우대)
진단내용
기업에서 개발 중인 또는 개발 완료된 SW(웹, 모바일 등)의 보안약점 진단 및 조치방법 컨설팅
소스코드 분석을 통한 보안약점 진단 + SW 실행/동작단계에서의 보안약점 진단
진단 지원 가능 언어 및 프레임워크
(언어) C, C++, C#, Java, JSP, XML, PHP, ASP.NET, Android Java, Python, swift, objective-c, javascript 등
(프레임워크) 전자정부, Spring Framework, IBATIS, BYBATIS, Struts, .NET, React Native, Flutter, Xamarin, Blazor 등
※ 그 외 언어 또는 프레임워크에 대한 진단 가능 여부는 별도 문의
진단 소요기간(절차)
출장형 진단(약 5~8일)
신청
접수
환경
분석
1차
진단
기업
보완
2차
진단
1일
1일
2~4일
1~2일
내방형 진단(약 3~5일)
신청
접수
환경
분석
진단
1일
1일
1~3일
※ 유형별 진단 일정은 대략적인 기간이며, 기업현황 및 보완 소요기간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신청방법
아래 ‘서비스 이용 신청’ 버튼을 눌러 신청서 양식 작성 후 서비스 신청
신청 후 대상 적격 여부 검토 후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며, 신청서에 기입한 전화 또는 이메일로 신청결과, 이용방법, 진단일정 및 계획 등을 안내
사전 준비사항
진단을 희망하는 서비스의 SW 소스코드
기업 증빙서류(중소기업확인증, 벤처기업등록증 등)
비용
모든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
문의 및 기술 지원
이메일 :
swgbba@gmail.com
전화 :
031-723-7585
팩스 :
031-723-7586
기타
출장형 진단은 한 기업당 연 1회만 지원 가능하며, 예산 소진 시 서비스 신청이 마감될 수 있음
내방형 진단은 이용 횟수의 제한 없이 자유롭게 이용가능, 단 신청 기업이 많은 경우 접수된 순서대로 배정
서비스 이용 신청